주식 투자를 위해서 기업을 조사하면, PER과 PBR이라는 단어들이 계속 나온다. 정확히 이 용어들의 의미는 무엇일까 한번 정리해보려고 함.
1.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줄임말이다. 번역된 이름은 주가 수익비율이며, 1주의 가격을 주당 순이익으로 나누었을 때 나오는 값이라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서 "가" 회사와 "나"회사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가"회사의 주가는 10,000원이고, "나"회사의 주가는 "20,000"이다. 주가 가격은 다르지만 두 회사의 주당 순이익은 1,000원으로 같은 상태이다. 이때 각각의 회사의 PER은 어떻게 되는가?
주식 가격을 주당 순이익으로 나누어야 하니...
"가"의 PER = 10,000/1,000 = 10
"나"의 PER = 20,000/1,000= 20
수식으로 계산하면 위와 같이 나온다.
이 상황에서 어떤 주식이 더 저평가되어 있나? 당연히 "가"가 더 저평가되어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왜냐하면 주당 순이익은 같음에도 더 주가가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PER의 가격이 낮은 저 PER 주식이 더 투자하기에 좋다~라는 말이 있다.
2. PBR
그렇다면 PBR은 무엇일까? PBR은 Price Booking Ratio의 줄임말이다.
PER이 1주의 가격을 주당 순이익으로 나눴다면 PBR은 1주의 가격을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것이다.
"가"회사의 주당 순 자산이 10,000이고, 주식 가격도 10,000이라고 쳐보자.
"가"의 PBR =10,000/10,000 = 1이 나온다. 따라서 주식 가격이 회사의 순자산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를 보자.
"나"회사의 주당 순 자산은 20,000인데 주식 가격은 10,000일 경우.
"나"의 PBR=10,000/20,000= 0.5가 나온다. 이 경우 주가가 회사가 가진 자산의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지 못한 셈이다.
따라서 PBR이 1에 가까울수록 현재 회사가 가진 자산이 적정 가치로 평가받고 있다는 것이 PBR의 핵심이다. (높은 경우는 자산 가치가 과대평가되었다는 뜻)
3. PER과 PBR만 보고 투자해도 괜찮을까?
PER과 PBR은 좋은 지표이지만, 단순하게 정말 이것만을 가지고 주식에 투자하면 위험하다.
참고용으로 우리나라의 몇 개 대표적인 회사들의 현재 PER과 PBR을 아래 차트에 적어보았다. 아래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미래에 더 큰 가치를 할 것이라고 기대되는 회사들은 PER과 PBR이 엄청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전과 하이닉스가 미래에 잘 못할 것이라는 게 아니다.)
주가는 현재의 기대를 반영하기 때문에 저렇게 높은 PER과 PBR이 나올 수도 있다. 하지만 만약에 실제로 미래에 그 회사가 대박이 나면? 언젠가는 회사의 순이익과 순자산이 현재 주가를 따라잡을 수도 있다. 그런 기대 때문에 사람들의 투자가 몰리는 것이기도 하고 말이다.
따라서 현재 가격의 지표를 보려면 PER과 PBR을 보는 것이 맞지만 투자하기 전에는 PER, PBR 외에도 산업 관련된 뉴스, 현재 회사의 재무상태나 나아가는 방향들을 모두 고려하는 것을 추천한다.
변동성/공포 지수 - VIX Index (0) | 2020.05.23 |
---|---|
블랙스완 (0) | 2020.05.17 |
미국 3대 지수 (나스닥, S&P500지수, 다우존스지수) (0) | 2020.04.29 |
콘탱고/베이시스/백워데이션 (0) | 2020.04.28 |
Fear and Greed Index / 공포와 탐욕 지수 (0) | 2020.04.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