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공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재테크 공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8)
    • 재테크 (58)
      • ETF 정리 (41)
      • 경제 용어 정리 (13)
      • 투자기록 (4)

검색 레이어

재테크 공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재테크/ETF 정리

  • 미국 제외 선진국과 신흥국 배당주에 투자하는 ETF - VIGI

    2020.07.07 by 어쿠스틱기타

  • 재택 근무 산업 관련 미국 ETF - WFH

    2020.07.05 by 어쿠스틱기타

  • 미국 10년 이상 배당을 준 기업 ETF - SCHD

    2020.06.29 by 어쿠스틱기타

  • 미국 장기 국채 레버리지 ETF - TMF

    2020.06.24 by 어쿠스틱기타

  • VIX 선물에 투자하는 미국 ETN - VIIX

    2020.06.22 by 어쿠스틱기타

  • 나스닥 인버스 레버리지x3 미국 ETF - SQQQ

    2020.06.15 by 어쿠스틱기타

  • 미국 테크놀로지 ETF - XLK

    2020.06.11 by 어쿠스틱기타

  • 미국 데이터 & 시설 관련 리츠 ETF - SRVR

    2020.06.08 by 어쿠스틱기타

미국 제외 선진국과 신흥국 배당주에 투자하는 ETF - VIGI

배당주 하면 주로 미국의 배당주나 삼성전자 정도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낯설 듯한 ETF가 있는데 바로 미국을 제외한 다른 선진국들과 이머징 마켓에 있는 배당주에 투자하는 VIGI이다. VIGI에 포함된 기업들은 적어도 7년 이상 배당을 성장시킨 기업들만 포함했다고 한다. 티커는 VIGI이거 풀네임은 Vanguard International Dividend Appreciation ETF이다. ▶ VIGI 요약정리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뱅가드에서 만들어낸 상품이다. 2016년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역사가 아직 길지는 않다. 운용 수수료는 0.25%밖에 되지 않아서 무척 저렴한 편이다. 다만 배당률은 배당주 ETF 치고 작은 편이라서 1.78%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당을 ..

재테크/ETF 정리 2020. 7. 7. 00:14

재택 근무 산업 관련 미국 ETF - WFH

오늘 소개하려고 하는 ETF는 이름부터 직관적인 WFH라는 상품이다. 풀네임은 DIREXION SHS ET/WK FROM HOME ETF로 말 그대로 재택근무와 관련이 있는 산업들을 모아놓은 ETF를 뜻한다. (WFH은 Work from home의 줄임말이다.) 이 ETF는 지난 6월 말에 생긴 따끈따끈한 새 ETF이다. (6월 29일에 생김) DIREXION SHS ET/WK FROM HOME ETF ▶WFH ETF 요약정리 코로나 시대에 맞추어서 늘어나는 재택근무에 대한 수요를 빠르게 캐치하여 만들어진 상품으로 보인다. DIrexion이라는 회사에서 만들었으며 운용보수는 0.45% 정도이다. 가격대는 현재 5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상장일은 2020년 6월 29일로 아직 일주일도 채 지나지 않았..

재테크/ETF 정리 2020. 7. 5. 12:20

미국 10년 이상 배당을 준 기업 ETF - SCHD

SCHD는 미국의 회사들 중에서 그냥 배당을 주는 회사들만 모두 매수하고 싶다! 하는 사람들에게 딱 알맞은 ETF가 아닐까 싶다. 티커 SCHD 풀네임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는 미국에서 배당을 주는 100개의 기업을 시가총액 크기에 따른 비중으로 가지고 있는 상품이다. 가지고 있는 홀딩들은 적어도 10년 이상의 배당 기록이 있어야 하며, 현금흐름, 부채 비중, 배당률 등등을 모두 고려하여 선정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스크리닝 때문에 금융 쪽의 비중은 적다고 하며 리츠는 아예 제외시켜두었다고 한다. SCHD는 분기별로 리밸런싱 되고 안에 들어가 있는 홀딩들은 매년 리뷰된다고 하니 참고. 게다가 운용 보수도 겨우 0.06%밖에 안된다는 장점이 있다. ▶SCHD ETF..

재테크/ETF 정리 2020. 6. 29. 13:27

미국 장기 국채 레버리지 ETF - TMF

올해 초는 물론 지금까지도 미국의 시장은 아직 변동성이 크다. 현재로서는 갑자기 전고점을 돌파하면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동성이 커졌지만, 여전히 불안한 눈으로 바라보는 시선들이 많다. 그래서 주식이 오르는데도 TLT (미국 장기국채 ETF)의 가격이 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투자자들의 심리를 잘 알기라도 하듯 요즘 TMF라는 ETF가 눈에 띈다. TMF는 간단히 말하자면 미국 장기 국채를 레버리지 3배로 추종하는 ETF이다. 티커 TMF 풀네임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ull 3X Shares ▶TMF 요약정리 Direxion이라는 회사에서 만들어졌으며 레버리지 상품답게 운용보수가 비싼 편이다. 하지만 그에 비해서 배당금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될 것 같이 적다. 게다가..

재테크/ETF 정리 2020. 6. 24. 00:12

VIX 선물에 투자하는 미국 ETN - VIIX

VIIX는 소위 공포 지수라고도 불리는 VIX 변동성 지수를 레버리지 없이 추종하는 ETN이다. 자산운용사들은 이름부터 직관적으로 잘 이해되도록 잘 짓는 것 같다. 티커 VIIX 풀네임 VelocityShares Daily Long VIX Short-Term ETN 풀네임에서 볼 수 있듯이 VIIX는 ETF가 아닌 ETN이다. ETF와 ETN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이 블로그의 다른 글에서 정리해놓았다. ETN이나 ETF로 검색하면 바로 찾을 수 있음. 간략하게 차이점을 정리해보자면, ETF는 자산 운용사가 만들었으며 엄밀히 말해서 투자자가 그 주식의 소유권을 가진다. 하지만 ETN은 "Note" 즉 채권이며 증권사가 발행한다. 주식이 아닌 채권을 가진 것이므로 만약 증권사가 망하면 내가 가진 자산도 휴지조..

재테크/ETF 정리 2020. 6. 22. 16:57

나스닥 인버스 레버리지x3 미국 ETF - SQQQ

QQQ는 미국 나스닥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ETF이다. SQQQ는 그것의 인버스인 ETF인데 그냥 인버스도 아니고 무려 레버리지 X3으로 추종하고 있다. 나스닥 중에서 약 100여 개의 (금융주 제외) 회사들을 시가총액 기준으로 담고 있다. 인버스이다 보니 장이 안 좋을 때 그 인기가 급격하게 올라간다. 하지만 레버리지가 들어가므로 그 폭이 커진다. *레버리지 투자를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손실이 난 후 그것을 만회하기 위해서는 이전보다 더 큰 상승률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한 예로 100원에 10% 손실을 보면 90%이다. 하지만 90%가 10% 이득을 봤을 때는 99이다. 이런 식으로 더 큰 수익률을 필요로 하므로 레버리지 상품을 보통 투자자들은 장기로 가져가지 않길 권한다. ETF를 많이 모아 두..

재테크/ETF 정리 2020. 6. 15. 23:15

미국 테크놀로지 ETF - XLK

XLK라는 테크놀로지 산업을 모아놓은 ETF를 조사하면서 제일 놀랐던 것은 일단 MSCI rating이 AA라는 것이다. (MSCI ESG Fund rating은 해당 펀드의 환경, 사회, 정치적 이슈에 대한 장기 리스크와 기회에 대하여 등급을 매겨놓은 것이다. ETF도 exchange traded fund로 펀드 상품이다.) 이처럼 높은 등급을 받은 것을 보면 테크놀로지 주들은 미래에도 산업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 티커 XLK 풀네임 Technology Select Sector SPDR Fund *ETF Summarized (ETF 요약)* XLK는 SPDR이라는 미국의 대표적인 자산운용사에서 운영 중인 ETF이다. SPDR은 미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ETF인 SPY를..

재테크/ETF 정리 2020. 6. 11. 00:12

미국 데이터 & 시설 관련 리츠 ETF - SRVR

언택트 시장에 대한 붐이 오면서 관련 산업들은 연일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 중에서 SRVR은 데이터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시설들 관련 리츠 산업들을 모아놓은 ETF이다. 적어도 85%의 이득을 이런 데이터와 관련 시설 리츠에서 얻는 회사들로만 구성이 되어 있다. 사실 관련 산업에서 종사하지 않는다면 이와 관련된 회사들은 어떤 회사들인지 의문이 생길 수 있다. 데이터라는 무형의 자산이 어떻게 리츠와 관련이 되어있는지도 헷갈렸고 말이다. 하지만 데이터는 무형이지만 이런 데이터를 우리가 마음껏 쓰기 위해서는 실제 공간이 필요하다. 정보를 보관하는 데이터 센터, 통신탑, 데이터 저장고 등등 말이다. SRVR은 위의 조건을 맞는 회사 중에서도 우수한 회사를 위주로 좀 더 비중을 주거나 골라서 넣는 형식을 ..

재테크/ETF 정리 2020. 6. 8. 15:2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6
다음
TISTORY
재테크 공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